about 금융 IT 취업
먼저 은행 IT에 취업을 하려고 하면 막막한 사람들을 위해..
지금 생각해보면 어떻게 면접을 봤는지도 모르겠는데, 생각 나는대로 정리해 본다.
#계정계
계정계라고 하면 와닿지 않는다. 일단 은행에서 크게는 코어한 DB권한을 가진 쪽이라고 보면 된다..
정보계에서는 이제 계정계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회계나 이런저런 데이터 가공을 한다..
은행은 개인정보에 민감하다. 그래서 마스킹이 중요하다.
그리고 거래종료고객이라고 주기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사람 데이터도 삭제해주어야 한다.
전체적인 상세 내용은
https://subokim.wordpress.com/2015/05/11/it_system_of_bank/
은행의 IT시스템에 대한 이해
“계정계, 정보계”가 뭐예요?종종 금융권 쪽에서 일자리를 구하는 친구들이 묻는 질문입니다.국민은행, 신한은행. 똑같습니다.그런데 금융권은 특성상 정보를 외부로 공개하지 않죠.상세한 정
subokim.wordpress.com
이글을 참고하면된다.
#정보 접근은?
Mobile -> MCI -> 전자금융 -> 계정계 (->대외기관)
이게 가장 와닿지 않을 수도 있다 ..
간단하게는 계정계를 타기위해서 엄청난 다리들을 건너야한다고만 이해하면 된다.. 나중에 기술할 예정..
#ex.오픈뱅킹
과거에는 뱅크샐러드가 엄청 핫했었는데, 이제는 어느 은행이나 오픈뱅킹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이유는 과거에는 뱅크샐러드가 각 회사와 컨텍해서 API를 연결했다고 하는데..
이제는 금융결제원에서 공통된 API를 통해서 모든 은행, 카드사에서 사용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금융결제원 내용을 보면 된다.
https://www.openbanking.or.kr/main
오픈뱅킹
오픈뱅킹모든핀테크 사업자와 금융기관이 개별 금융기관과 별도 제휴 없이도 핀테크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핵심금융서비스를 표준화된 API형태로 제공합니다. 금융이 열린다생활
www.openbanking.or.kr
오픈 뱅킹이란? 일단은 사용자의 동의를 한번 받아서 (기본적으로 조회 동의) 고객 데이터를 가지고 본인 소유의데이터를 조회가능하다.
기존 은행에서, 증권사 잔액, 저축은행, 그리고 카드사까지 추가되었다...
개발자들 죽겠네 ㅇ<-<
오픈뱅킹 하루 이체 한도는 1,000만원이다.. 보통은 고객들은 이체한도 초과로 민원을 넣는다..
오늘은 여기까지..